JS
[Javascript] 자료형_array 배열 자세히 보기
edden
2023. 3. 24. 20:53
과일을 리스트를 보려면, 과일 리스트(변수)를 저장 해야 한다.
배열을 엑셀시트처럼 변수 이름 하나를 가지고 여러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let fruit = ["banana","apple","grape","mango"] |
<알아야할 개념 - 배열>
배열은 관련있는 데이터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변수 아래에 저장하는 것이다.
console.log(fruit.indexOf("apple")) // apple의 index가 몇 번인지 알려준다.
console.log(fruit.slice(1)) // ["banana","apple","grape","mango"] -> ["apple","grape","mango"] 인덱스 1번부터만 살리고 앞에 인덱스는 잘라버린다.
console.log(fruit.slice(1,3)) // ["banana","apple","grape","mango"] -> ["apple","grape"] 인덱스 1번부터 3번 이전까지 추출
fruit.splice(2,1)
console.log(fruit) // 인덱스 2부터 시작해서 몇개를 제거할지
slice와 splice의 차이?
일부 아이템만 가져다 새로 배열 만들고 싶을 때 사용 | 기존 (원본)배열을 바꿔야 할 때 사용 |
fruit.slice(0,2) console.log(fruit) |
fruit.splice(0,2) console.log(fruit) |
slice는 기존의 배열을 건들이지 않고 복붙해서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 | splice는 기존 오리지널 배열이 잘린다. |
Console창 결과 -> ["banana","apple","grape","mango"] 원래는 인덱스 값 반영해서 ["banana","apple"]로 나와야 한다. -> 이 코드를 살리려면 변수를 추가해야 한다. let extrafruit = fruit.slice(0,2) console.log(extrafruit) 그리고, 원래 코드를 보고 싶다면.. console.log("orignal fruit",fruit) -> orignal fruit ["banana","apple","grape","mango"] 위와 같이 보인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