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장방식 (Internal CSS)

Html 안에서 Css를 작성하는 방식.

장점 : 별도의 Css파일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단점 : Css양이 많이질 경우, Html 안에서 한번에 다 처리하기 어렵고 유지 보수가 비효율적이다.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Evelyn.kim</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main.css">
    <script src="/js/main.js"></script>
    <style> <!-- Html 안에서 Css 작성하는 방법 -->
        div {
            text-decoration:underline;
        }
        a {
            font-size: 50px;
        }
    </style>
</head>

** 단, 프론트엔드 개발 방식으로 Html, Css, Javascript 파일을 구별해서 관리하면 장점이 많다는 점을 기억해두자. 

** 번들 : Html, Css, Javascript를 한번에 묶어서 서버에 올리는 방식이다. 

    번들하는 과정에서 개발하는 내용을 제품화시킬 때 파일로 분류한 내용들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합쳐서 내장방식으로 심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내장방식'으로 Css를 작성하는 방법은 직접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인라인 방식 (Inline CSS)

해당 요소에 직접적으로 style 속성을 작성하는 방식.

장점 : 속성을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단점 : Css 우선순위로 봤을 때 style이 지나치게 우선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유지보수 시 다른 코드로 Css 내용을 덮어서 수정이 어렵다.

 

<div style=font-size:100px;>Evelyn kim</div> <!-- 인라인 방식 -->

인라인 방식_출력화면

 

링크방식 (External CSS) (= 병렬로 연결)

외부에서 Css 파일을 한번에 가져오는 방식.

i.e. 해석이 빨리 끝나는 Css가 먼저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빠르게 모든 Css파일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추천한다.)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Evelyn.kim</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main.css"> <!-- 링크방식 -->
<script src="/js/main.js"></script>

Css 선언 방식_link 병렬 방식
링크 방식_출력화면

 

@import 방식 (= 직렬로 연결)

링크방식 + import 규칙

Css의 import 규칙으로 main.css와 연결되어 있는 box.css를 가져오기 위한 연결 방식.

장점 : 연결을 지연시키는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단점 : 연결이 지연된다. 

 

i.e. box.css는 main.css가 @import를 통해 Html에 연결되기 전까지는 Html에 연결될 수 없다. 이 개념을 장점으로 승화시킬 수 있지만, 단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방식)

<link rel="stylesheet" href="./css/main.css"> <!-- 첫 번째 Css 파일 작성하기 -->
@import url("./box.css"); /* 두 번째 Css 파일 작성하기 */

div {
  font-size: 100px;
}
div {			/* box.css 파일 */
    color: coral;
}

 

위 코드를 vscode에 한번에 정리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보이게 된다.

Css 선언 방식_import 직렬 방식

 

** 직렬, 병렬 차이 : 

applepop님의 <건전지의 직렬과 병렬 연결>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반응형
반응형

크로스 브라우징 (Cross Browsing) : 

모든 브라우저에서 화면이 동일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동등한 수준의 정보 및 기능 제공이 우선이라는 개념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들은 각기 다른 속성과 기술요소(렌더링엔진)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 웹브라우저 별로 표현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동일한 웹사이트라 하더라도 어떤 웹브라우저로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는 것이죠.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보여준다'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얘기입니다.
다만, '크로스 브라우징'은 최대한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제작자가 의도한 내용을 이상 없이 동작하게 해줍니다.

웹 표준에 의거하여 각각의 벤더사들(e.g.애플, 구글 ect.)이 브라우저를 제작할 때

조금씩 다른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

i.e.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Css 스타일을 초기화 하고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현재 사용하는 크롬 브라우저에서는 흰색 영역이 기본으로 margin 값이 셋팅된 것이 보인다.  

 

 

구글 검색창에 'reset.css cdn' 입력한다.

reset.css cdn 구글창 입력

 

링크들어가 아래 코드 복사 후 index.html의 css link 코드 위에 붙여넣기 하면 된다. 

<link href="https://cdn.jsdelivr.net/npm/reset-css@5.0.2/reset.min.css"
rel="stylesheet">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link href="https://cdn.jsdelivr.net/npm/reset-css@5.0.2/reset.min.css
" rel="stylesheet"> <!-- 복사한 코드를 css링크 위에 붙여넣기 -->
    <link rel="stylesheet" href="/login/css/main.css">
    <style>
        body {
            font-size: 50px;
        }
    </style>
</head>

 

적용 후 새로고침하면 브라우저 공간이 없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CSS 선택자  (0) 2023.12.12
[CSS] CSS 선언 방식, Types of CSS  (0) 2023.12.09
[CSS] To change text color in list  (0) 2023.11.15
[CSS] To remove underline / dots from a link  (0) 2023.11.15
[CSS] 인라인(글자) VS 블럭(상자) 요소  (0) 2023.11.15
반응형

To change the color of the inline text, targets the CSS selector “a”

 

 

To remove underline from a link with CSS, ADD text-decoration: none to your code.

For example, to remove underline for all links on all pages, use this CSS code:

a {
  text-decoration: none;
  color: black;
}

This code targets the CSS selector “a”, which selects all HTML tags <a> - the ones used for links, and adds the CSS text-decoration: none and color: black to remove the underline and set a fixed color to the links.

 

반응형
반응형

To remove underline from a link with CSS, ADD text-decoration: none to your code.

For example, to remove underline for all links on all pages, use this CSS code:

a {
  text-decoration: none;
  color: black;
}

This code targets the CSS selector “a”, which selects all HTML tags <a> - the ones used for links, and adds the CSS text-decoration: none and color: black to remove the underline and set a fixed color to the links.

 

 

To remove the dots in an HTML list, set the CSS list-style: none for all lists. (ul tags)

ul {
  list-style: none;
}

 

반응형
반응형

웹사이트 만드는 과정

정보(글자) 입력
          ∇
레이아웃 설정 - 박스(상자)개념으로 구조 잡기

 

대표적인 인라인 요소

<a>, <img>, <object>, <br>, <sub>, <sup>, <span>, <input>, <textarea>, <label>, <button> 

 

</span>은

콘텐츠의 영역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왼쪽 > 오른쪽, 수평으로 쌓이는 특성이 있다.

** 인라인 요소 : 글자를 의미하는 요소로 줄바꿈은 띄어쓰기로 들어걸 수 있다.

 

e.g.

이미지1

i.e.

span요소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evelyn'글자고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kim'글자인지 알려주는 용도이다. 

 

하지만 이미지1에서 보는 것과같이 'evelyn'과 'kim' 사이의 띄어쓰기 빈칸은 span태그에 해당되지 않는다. 

 

만약 Css span태그를 body태그로 바꾸면 body태그 안에 있는 모든 글자 크기가 100px 임을 선언하게 된 것으로 space가 넓어진다. (이미지2) 

이미지2

 

span요소는 하나의 글자처럼 취급이 되기에 줄바꿈하지 않고 이어서 쓰면 띄어쓰기 빈칸이 없이 글자가 붙어서 나온다. (이미지3)

이미지3

 

이를 인라인 요소라고 부르는데, 인라인은 글자(콘텐츠) 크기만큼 줄어드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F)

이미지F

 

span 태그는 가로/세로 사이즈 속성을 가질 수 없다. 

i.e. 글자요소는 가로세로 사이즈를 지정할 수 없다. 

margin, padding은 좌우 여백만 설정이 가능하다!

 

글자 안에는 상자를 넣을 수 없지만 글자 안에 글자를 넣을 수 있다. 

<span><div></div></span> <!-- 안됨X -->
<span><span></span></span> <!-- 가능O -->

 

대표적인 블록 요소

<p>, <h1>~<h6>, <ul>, <ol>, <div>, <blockquote>, <form>, <hr>, <table>, <fieldset>, <address>

 

</div>

가로 넓이는 최대한 늘어나려고 시도하며

세로 넓이는 최대한 줄어들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미지5)

이미지5

 

i.e. 인라인 요소와 다르게 상자이기에 세로/가로 여백 설정이 가능하다. 

 

 

인라인 레밸 블럭 레밸
<a>, <img>, <object>, <br>, <sub>, <sup>, <span>, <input>, <textarea>, <label>, <button>  <p>
<h1>~<h6>
<ul>
<ol>
<div>
<blockquote>
<form>
<hr>
<table>
<fieldset>
<address>

 

 

반응형

+ Recent posts